  | 
	
 | 	
	  | 
	
	
		
	  |  
	| 
	
	 |  
	 
		
		
			 ▶  linux에서 bind 를 설치하고 가장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방법만을 설명하였고 네임서버의 작동원리나 기본개념, 각 레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            등은 생략했습니다. |  
		  |  
	 
		
		
			
				
				 - 1. 설치
 
				 http://www.isc.org에서 최신에 Rpm 버전을 임의의 디렉토리에 다운받습니다. 
				최신에 rpm 버전을 다운 받아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. 
				예) rpm -ivh bind-9.x.x.i686.rpm 
				(한가지 주의할 점은 bind 업그fp이드 시 6.2는 6.2용 7.0은 7.0용 버젼으로 받아야 합니다.)
  
				*  RPM 참고사항 
				-ivh 는 처음 설치시 사용하는 옵션 
				-Uvh 는 업그레이드시 사용하는 옵션
  
				  - 2. 설정
 
				(1) named.conf 파일 
				named.conf 파일을 다운 받아 /etc/ 밑에 넣습니다.  
				기본적인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.
  
				*  예제
  
				options {  
				directory "/var/named";  
				}; 
				zone "." { 
				type hint;  
				file "named.root"; 
				};  
				zone "ip.in-addr.arpa" {  
				type master; 
				file "reverse.zone"; 
				}; 
				zone "domain" {  
				type master; 
				file "domain.zone";  
				};
  
				(2) reverse.zone 파일 
				 ip 부분은 네임서버로 사용할 ip를 ip 부분을 지우고 끝자리를 빼고 거꾸로 입력합니다. 
				예제) 211.11.22.33 이라면 22.11.211 이라고만 입력합니다. 
				마찬가지로 “domain” 부분을 지우고 사용할 도메인을 넣습니다.         ns , www 등을 뺀 도메인만 넣어야 합니다. 점 하나도 틀리면 안됩니다.
  
				reverse.zone 파일과 domain.zone 파일을 /var/named/ 밑에 다운 받습니다. 
				/var/named 디렉토리가 없다면 만들어야합니다. 
				reverse.zone 파일을 수정합니다. 
				 기본적인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.
  
				
				* reverse.zone 예제
  
				@ IN SOA host.domain. root.host.domain. ( 
				21000621 ; Serial 
				10800 ; Refresh  
				900 ; Retry  
				3600000 ; Expire  
				3600 ) ; Minimum  
				IN NS host.domain. 
				IP IN PTR host.domain.
  
				host 부분은 보통 ns 를 입력합니다. 예) host.domain => ns.yahoo.co.kr. 
				IP 는 네임서버 IP 에 마지막자리를 입력합니다.  
				예제) 211.11.22.33 이라면 33 이라고만 입력합니다. 
				점하나도 틀리면 안된다 도메인끝에는 반드시 점이 있음을 유의합니다.
  
				(3) domain.zone 파일 
				 다운받은 domain.zone 을 수정합니다.  
				 기본적인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.
  
				* domain.zone 예제
  
				@ IN SOA host.domain. root.host.domain. (  
				21000621 ; Serial  
				10800 ; Refresh 
				900 ; Retry 
				3600000 ; Expire  
				3600 ) ; Minimum  
				IN NS host.domain.  
				@ IN A IP  
				www IN A IP  
				maill IN A IP 
				@ IN MX 10 mail.domain.
  
				  - 3. 확인
 
				(1) 서비스 시작 
				 편집을 종료한 이후 Service named start 명령을 주면 네임서버가 정상작동할 것입니다. 
				만약 시작되지 않으면 rndc start 명령을 실행해 봅니다. 
				제대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nslookup - localhost 하신 후에 도메인을 입력했을 때 ip가 뜨면 정상입니다.
  
				[root@ns1 ~]# nslookup - localhost 
				> q07.asadal.net 
				Server:    localhost 
				Address:    127.0.0.1#53 
				Name:    q07.asadal.net 
				Address:    110.45.146.175
  
				* 만약 안된다면 /var/log/message 파일에 에러 내용을 참고하면 됩니다. 
				이후 추가할 도메인이 있다면 named.conf 에 도메인을 설정한 것과 같이 똑같이 추가하면 되며 zone 은 domain.zone 파일을 복사하여 적절히 수정하여 재시작         해주면 됩니다.  
				  - 4. 네임서버 호스트 등록
 
				네임서버를 다 만들었다면 최상위 네임서버에 등록을 해야합니다. 
				위에서 zone file 에 host 부분에 입력한 이름과 같은 이름을 도메인등록기관을 통하여 등록합니다. 
				Host 를 ns 라고 했다면 “ns.도메인”은 ip는 xx.xx.xx.xx 라고 등록하고 며칠뒤 도메인에 1차 네임서버로 그것을 지정합니다. 
				   |  
		  |  
	 |  
 
								
	
						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