  | 
   
		
		
		    |  
		
		  FTP 접속 시 자주 발생하는 에러의 해결방법입니다.  |  
		  | 
   | 
   | 
   
		
		
		   1. 접속 실패
		    - FTP 접속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
  
		    
		    PASS [hidden]  
		    530 Login incorrect  
		    !Logon failure, so quiting 
 
  
	    	
		      - 설정한 FTP ID 및 패스워드가 세팅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입니다.
 
		       - User ID 와 패스워드 정보에는 호스팅 회사에서 보내드린 완료메일을 참조하셔서 정확하게 기입하셔야 합니다.
 
		       - FTP에서는 대, 소문자를 구분하므로 아이디와 패스워드 항목에 대, 소문자를 구분하여 정확하게 기입하셔야 합니다.
 
		       - ID와 패스워드를 분실하셨을 경우, 내정보의 도메인목록에서 해당 도메인의 상세정보를 보시거나, hosting@asadal.com 으로 문의메일 주십시오.
   |  
		  | 
   | 
   | 
   
		
		
		   2. 특정 디렉터리나 파일이 보이지 않거나 다운로드가 되지 않을 때
		    - FTP 접속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다운로드되지 않을 경우
  
		    550 ***.**  No such file or directory 
 
  
		    
		      - 파일의 권한 또는 상위 디렉터리의 권한이 고객님의 FTP ID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디렉터리나 파일의 사용이 불가능합니다.
 
		       - 보통 웹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게시판, 방명록 등의 파일의 경우 고객님의 ID 권한이 아닌 nobody 권한으로 생성됩니다.
 
		       - 해당 파일을 백업용으로 받아놓고 싶으신 경우 연락주시면 변경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 
    |  
		  | 
   | 
   | 
   
		
		
		   3. 호스트를 못 찾을 경우
		    - FTP 접속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
  
		    
		    ! Can't get "mydomain.com" host entry  
		    ! Connection failed mydomain.com 
 
  
		    
		      - FTP Host 부분에 적은 주소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입니다.
 
		       - 등록한 도메인이 아직 승인이 나지 않은 경우이거나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호스팅 네임서버로 변경해 주시지 않은 경우입니다. [네임서버 변경 방법 보기]
 
		       - 네임서버를 변경해 주셨는데도 위와 같은 에러가 날 경우는 아직 네임서버가 갱신이 되지 않은 경우니 12시간 ~ 24시간 후에 다시 접속해 보시면 됩니다.
 
		       - 급하게 접속을 하셔야 할 경우 Host 부분에 도메인명을 쓰지 마시고 호스팅 완료 메일 발송 시에 보내드린 호스트 이름을 적어주시면 FTP 접속이 됩니다.
   |  
		  | 
   | 
   | 
   
		
		
		   4. 파일 업로드가 되지 않을 경우
		    - FTP 접속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파일 업로드가 되지 않거나 디렉터리 접근이 되지 않을 경우
  
		    550 ***.***: Permission denied.
 
  
	    	
	      	- 파일의 권한 또는 상위 디렉터리의 권한이 고객님의 FTP ID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디렉터리나 파일의 접근이 불가능합니다.
   
    		- FTP 접속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파일 업로드가 되지 않을 경우
  
    		552 Transfer aborted. Disk quota exceeded 
 
  
	    	
		      - 고객님께서 사용하고 계시는 계정의 용량이 사용할 수 있는 용량보다 초과되었을 경우 파일 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.
 
		       - 현재 고객님께서 사용하고 계시는 용량은 텔넷으로 접속하신 뒤 du 명령어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[du 명령어 사용법 보기]
 
    |  
		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