  | 
	
 | 	
	  | 
	
	
		
	  |  
	| 
	
	 |  
	 
		
		
			
				
				 - 1. 커널에 quota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
 
				 [root@ns /root]# cd /usr/src/linux; make menuconfig  
				kernel --> File Systems --> Quota support 부분에 check 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  
				  - 2. quota 설치
 
				[root@ns /root]# rpm -qa|grep quota 
				quota-3.00-4 
				* 설치 안 되어 있을 경우 설치 
				[root@ns /root]# yum install quota
  
				  - 3. fstab 파일 수정
 
				home 파티션만 quota 설정을 하겠습니다. 파일시스템을 하드를 할당 가능하도록 설정합니다. 
				[root@ns /root]#  /etc/fstab  
				/dev/hda7 / ext2 defaults 1 1 
				/dev/hda1 /boot ext2 defaults 1 2 
				/dev/hda5 /home ext2 defaults,usrquota 1 2
  
				 - 4. rc.local 파일 수정
 
				rc.local 파일에 아래 내용을 적어주면 재부팅시 쿼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 
				[root@ns /root]# cat /etc/rc.d/rc.local 
				if [ -x /sbin/quotacheck ]; then 
				echo "Checking quota!!............ " 
				/sbin/quotacheck -avug 
				echo " Done." 
				fi 
				if [ -x /sbin/quotaon ]; then 
				echo "Quota is being used...." 
				/sbin/quotaon -avug 
				echo " Done." 
				fi
  
				 - 5. quota.user 설정
 
				[root@ns /root]# touch /home/users/quota.user  
				[root@ns /root]# chmod 640 /home/users/quota.user
  
				 /home/users 디렉토리에 쿼터를 적용하는 설정입니다. 해당 디렉터리에서 quota.user 화일과 
				보안설정으로 권한을 640으로 설정합니다.
  
				 - 6. 유저별 quota 설정
 
				[root@ns /root]# edquota -u asadal 
				chanho 라는 아이디에 하드 공간 제한을 해보겠습니다. 
				Quotas for user asadal: 
				/dev/hda5: blocks in use: 36, limits (soft = 0, hard = 0) 
				inodes in use: 9, limits (soft = 0, hard = 0) 
				"/tmp/EdP.aJ01PdS" 3L, 129C
  
				위에 보시면 soft, hard 부분이 있습니다. 간략하게 설명을 하겠습니다. 
				- soft : 임계치 --> 임계치까지 허용을 합니다. 
				- hard : 한계치 --> soft 설정부터 에러메세지를 보여주고 hard 까지만 사용 가능합니다.
  
				* 주의사항  
				: hard 를 넘었을 경우 파일을 올리면 자동으로 0kbyte로 됩니다. 
				: hard 넘고 다시 자료를 삭제하였을 경우, quotacheck를 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disk full 에러가 발생합니다.
  
				 - 7. crontab에 등록
 
				[root@ns /root]# crontab -e 
				0 3 * * 0 /sbin/quotacheck -avug
  
				크론으로 정기적으로 quotacheck가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. 
				   |  
		  |  
	 |  
 
								
	
						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