  | 
	
 | 	
	  | 
	
	
		
	  |  
	| 
	
	 |  
	 |  
	
▶ uname :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.  
    ① 사용방법 
        # uname [-옵션]  
    ② 사용예제  
        # uname			<- 간단한 OS 정보를 보여준다. 
        # uname -a 		<- 시스템에 대한 모든 정보를 보여준다. 
        # uname -r		<- 커널의 버전을 출력한다. 
    ③ 옵션 
        -s : 시스템 이름을 알려준다. 
        -n : 네트워크 호스트명을 알려준다. 
        -r : 커널의 버전을 출력한다. 
        -v : 운영체제의 버전을 알려준다. 
        -m : 하드웨어의 종류를 알려준다.  
        -a : 모든 정보를 알려준다. -snrvm 과 같다. 
  
▶ users : 현재 접속해 있는 사용자들의 아이디(ID)를 출력해 준다.
  
▶ uptime : 현재 시간과 로그인한 유저수, load average(시스템의 부하 평균)를 보여준다.
  
▶ vi : vi 에디터.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에디터다.
  
▶ w: 현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출력한다. 
  
▶ wc : 지정한 파일의 문자수, 단어수, 라인수 등을 표시한다. 
    ① 사용방법 
        # wc [-옵션] [파일명] 
    ② 사용예제  
        # wc test.txt      <- test.txt의 라인수, 문자수, 글자수를 보여준다. 
        # ls | wc      <- ls 결과의 개수를 파악할 때 사용하면 좋다. 
        # wc -c test.txt      <- test.txt의 글자수를 출력한다. 
    ③ 옵션 
        -c : 문자(character)의 개수를 출력한다. 
        -w : 단어(word)의 개수를 출력한다. 
        -l : 행(line)의 개수를 출력한다.
  
▶ whereis : 파일의 위치를 찾아준다. 명령어의 위치를 찾을 때 사용하면 좋다. 
    ① 사용방법 
        # whereis [파일명] 
    ② 사용예제  
        # whereis perl      <- perl의 위치를 알려준다. 
        # whereis su	      <- su 명령어의 위치를 알려준다.
  
▶ who : 현재의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이나 로그인 정보를 보여준다.  
    ① 사용방법 
        # who [-옵션] [파일] 
    ② 사용예제  
        # who      <- 현재 접속한 사용자를 보여준다. 
        # who -m      <- 내 정보를 보여준다. 
        # who -q      <- 로그인한 아이디와 로그인한 수를 보여준다. 
    ③ 옵션 
        -m : 내 정보를 보여준다. whoami와 같다. 
        -q : 로그인명과 로그인한 수를 출력한다. 
        -i : 로그인한 후 얼마동안 응답이 없었는지 보여준다.
  
▶ whoami : 현재 접속한 계정명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. 
	
	 |  
	 |  
 
								
	
						 |